1 | 신력탕(腎瀝湯) | 풍, 신장풍 | 2 | 소속명탕(小續命湯) | 풍, 중풍 | 3 | 서각승마탕(犀角升麻湯) | 풍, 중풍 | 4 | 지황음자(地黃飮子) | 풍, 중풍 | 5 | 소풍탕(疎風湯) | 풍, 중풍 | 6 | 오약순기산(烏藥順氣散) | 풍, 중풍 | 7 | 만금탕(萬金湯) | 풍, 중풍 | 8 | 강활유풍탕(羌活愈風湯) | 풍, 중풍, 보허 | 9 | 자윤탕(滋潤湯) | 풍, 중풍, 변비 | 10 | 가미대보탕(加味大補湯) | 풍, 중풍, 무력 | 11 | 소풍활혈탕(疎風活血湯) | 풍, 중풍, 신경통 | 12 | 견정산(牽正散) | 풍, 중풍, 와사 | 13 | 팔보회춘탕(八補廻春湯) | 풍, 중풍, 활혈 | 14 | 영선제통음(靈仙除痛飮) | 풍, 습풍, 신경통 | 15 | 도담탕(導痰湯) | 풍, 중풍, 거담 | 16 | 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 | 풍, 중풍, 불안 | 17 | 이기거풍산(理氣祛風散) | 풍, 구완와사 | 18 |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 | 제풍열, 창진 | 19 | 목향보명단(木香保命丹) | 중풍 | 20 | 축비산(蓄鼻散) | 중풍, | 21 | 신선해어단(神仙解語丹) | 중풍 | 22 | 대강활탕(大羌活湯) | 풍습, 풍통 | 23 | 이중탕(理中湯) | 복통, 위무력 | 24 | 진무탕(眞武湯) | 복만, 복통, 소염 | 25 | 사역탕(四逆湯) | 토사, 사지궐랭, | 26 | 부자이중탕(附子理中湯) | 풍한 구금, 위경련 | 27 | 백호탕(白虎湯) | 해열, 다한, 번갈, | 28 | 대시호탕(大柴胡湯) | 해열, 조열, 변비, | 29 | 오령산(五笭散) | 해열,번갈,소변 | 30 | 치시탕(梔 湯) | 불면, 오심, 출혈 | 31 |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 | 해열, 해독 | 32 | 도인승기탕(桃仁承氣湯) | 해열, 변비 | 33 | 시령탕(柴笭湯) | 해열, 번갈, 자리 | 34 | 삼호작약탕(蔘胡芍藥湯) | 해열, 번갈, 변비 | 35 | 익원산(益元散) | 중서, 토사, 하리 | 36 | 주증황련환(酒蒸黃連丸) | 중서, 해열, 해독 | 37 | 행습유기산(行濕流氣散) | 풍,한, 습비 | 38 | 당귀승기탕(當歸承氣湯) | 해열, 조증, 변비 | 39 | 구미청심원(九味淸心元) | 해열, 심흉독열 | 40 | 양격산(凉膈散) | 해열, 번조, 종창 | 41 | 평위산(平胃散) | 건위, 구급위장 | 42 | 소승기탕(小承氣湯) | 해열, 창만, 변비 | 43 | 지출환(枳朮丸) | 건위, 소화제 | 44 | 향사평위산(香砂平胃散) | 건위, 위산과다 | 45 | 대화중음(大和中飮) | 건위, 소화제 | 46 | 내소산(內消散) | 건위, 구급위장병 | 47 | 소체환(消滯丸) | 건위, 소화 | 48 | 대금음자(對金飮子) | 건위, 식상 | 49 | 도씨평위산(陶氏平胃散) | 건위, 식적 | 50 | 천금광제환(千金廣濟丸) | 건위, 곽란 | 51 | 입효제중단(立效濟衆丹) | 건위, 곽란 | 52 | 증미이진탕(增味二陳湯) | 건위, 위산과다 | 53 | 보음익기전(補陰益氣煎) | 음허, 학질 | 54 | 이음전(理陰煎) | 보허, 보기 | 55 | 생맥산(生脈散) | 하권, 해수 | 56 | 청서익기탕(淸署益氣湯) | 하권, 청서 | 57 | 삼귀익원탕(蔘歸益元湯) | 하수, 익기 | 58 | 승습탕(勝濕湯) | 풍습, 습체 | 59 | 삼기음(三氣飮) | 보기, 풍한습 | 60 | 당귀보혈탕(當歸補血湯) | 보혈, 창상 | 61 | 청리자감탕(淸璃滋坎湯) | 조열, 도한 | 62 | 전씨이공산(錢氏異功散) | 비위허약, 보기 | 63 | 향사육군자탕(香砂六君子 | 비위허약, 건위 | 64 | 삼출건비탕(蔘朮建脾湯) | 건위, 소화 | 65 |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 보기, 보양 | 66 | 익위승양탕(益胃升陽湯) | 건위, 보양 | 67 | 응신산(凝神散) | 건위, 보양 | 68 | 삼령백출산(蔘笭白朮散) | 건위, 보양 | 69 | 태화환(太和丸) | 건위, 보양 | 70 | 구선왕도고(九仙王道고) | 건위, 보양 | 71 | 대조환(大造丸) | 보기, 보양 | 72 | 오약순기산(烏藥順氣散) | 보기, 풍한 | 73 | 구미강활탕(九味羌活湯) | 보기, 풍한 | 74 | 갈근해기탕(葛根解氣湯) | 감기, 풍한 | 75 | 오적산(五積散) | 감기, 풍한 | 76 | 곽향정기산(藿香正氣散) | 감기, 풍한 | 77 | 불환금정기산(不換金正氣散) | 감기, 풍한 | 78 | 인삼양위탕(人蔘養胃湯) | 감기, 건위 | 79 | 향소산(香蘇散) | 감기, 풍한 | 80 | 십신탕(十神湯) | 감기, 풍한 | 81 | 인삼패독산(人蔘敗毒散) | 감기, 해독 | 82 | 향갈탕(香葛湯) | 감기, 풍한 | 83 | 궁소산(芎蘇散) | 감기, 풍한 | 84 | 승마갈근탕(升麻葛根湯) | 감기, 해독 | 85 | 화해음(和解飮) | 감기, 풍한 | 86 | 정시호음(正柴胡飮) | 감기, 해열 | 87 | 소시호탕(小柴胡湯) | 감기, 해열 | 88 | 삼소음(蔘蘇飮) | 감기, 해열 | 89 | 소청룡탕(小靑龍湯) | 감기, 해열 | 90 | 승양산화탕(陶氏升陽散火湯) | 감기, 해열 | 91 | 맥문동탕(麥門冬湯) | 구급, 해열 | 92 | 인삼소요산(人蔘逍遙散) | 감기, 해열 | 93 | 마계음(麻桂飮) | 감기, 해열 | 94 | 십신탕(十神湯) | 감기, 해열 | 95 | 신계향소산(神契香蘇散) | 감기, 해열 | 96 | 이향산(二香散) | 감기, 서열 | 97 | 향유산(香 散) | 감기, 서열 | 98 | 육화탕(六和湯) | 감기, 서열 | 99 | 축비음(縮脾飮) | 감기, 서열 | 100 | 신출산(神朮散) | 감기, 서열 | 101 | 생혈윤부음(生血潤膚飮) | 조습, 조혈 | 102 | 성심산(醒心散) | 불안, 해열 | 103 | 인삼청기산(人蔘靑氣散) | 허로, 해열 | 104 | 자음강화탕(滋陰降火湯) | 소염, 해열 | 105 | 향사양위탕(香砂養胃湯) | 건위, 비민 | 106 | 용부탕(茸附湯) | 보기, 허손 | 107 | 녹용대보탕(鹿茸大補湯) | 보기, 허손 | 108 | 쌍화탕(雙和湯) | 보기, 허손 | 109 | 팔물탕(八物湯) | 보음, 여성 | 110 |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 음양, 허손 | 111 | 고진음자(固眞飮子) | 음양, 허손 | 112 | 인삼양영탕(人蔘養榮湯) | 음양, 허손 | 113 | 고암심신환(古庵心腎丸) | 신허, 강정 | 114 | 구원심신환(究原心腎丸) | 신허, 강정 | 115 | 공진단(拱辰丹) | 신허, 강정 | 116 | 귤피전원(橘皮煎元) | 신허, 강정 | 117 | 육미지황원(六味地黃元) | 신허, 강정 | 118 | 증익귀용환(增益歸茸丸) | 신허, 강정 | 119 | 쌍보환(雙補丸) | 허손, 강정 | 120 | 이신교제단(二神交濟丹) | 허손, 강정 | 121 | 인숙산(仁熟散) | 심허, 강정 | 122 | 소건중탕(小建中湯) | 심허, 강장 | 123 | 우귀음(右歸飮) | 보기, 강정 | 124 | 대영전(大營煎) | 보음, 강정 | 125 | 양의고(兩議膏) | 강장, 강정 | 126 | 정원음(貞元飮) | 강장, 강정 | 127 | 비화음(比和飮) | 강장, 강정 | 128 | 금수육군전(金水六君煎) | 강장, 강정 | 129 | 청상보하환(淸上補下丸) | 강정, 페열 | 130 | 인삼복맥탕(人蔘復脈湯) | 강장, 건위 | 131 | 정향시체산(丁香枾締散) | 강장, 건위 | 132 | 장원탕(壯原湯) | 강장, 건위 | 133 | 복원단(復元丹) | 강장, 건위 | 134 | 사수음(四獸飮) | 강장, 건위 | 135 | 냉부탕(冷附湯) | 강심, 해학 | 136 | 휴학음(休虐飮) | 해학, 강정 | 137 | 하인음(何人飮) | 해학, 강정 | 138 | 경옥고(瓊玉膏) | 강장, 강정 | 139 | 반룡환(班龍丸) | 강장, 강정 | 140 | 비원전(秘元煎) | 강장, 강정 | 141 | 사군자탕(四君子湯) | 강장, 보기 | 142 | 거원전(擧元煎) | 강장, 보기 | 143 | 귀비탕(歸脾湯) | 우사, 강정 | 144 | 진음전(鎭陰煎) | 보혈, 부인 | 145 | 사물탕(四物湯) | 보혈, 부인 | 146 | 육군자탕(六君子湯) | 보기, 강장 | 147 | 안회이중탕(安蛔理中湯) | 구충, 건위 | 148 | 삼기탕(蔘氣湯) | 기허, 유뇨 | 149 | 사주산(四柱散) | 강장, 조변 | 150 | 팔주산(八柱散) | 강장, 강정 | 151 | 오덕산(五德散) | 강장, 지사 | 152 | 사신환(四神丸) | 강장, 지사 | 153 | 위관전(胃關煎) | 강장, 지사 | 154 | 실장산(實腸散) | 강장, 지사 | 155 | 제천전(濟川煎) | 강장, 변비 | 156 | 윤혈음(潤血飮) | 강장, 변비 | 157 | 교밀탕(膠蜜湯) | 강장, 변비 | 158 | 자음건비탕(滋陰健脾湯) | 강정, 강심 | 159 | 자석양신환(磁石羊腎丸) | 강정, 강장 | 160 | 건리탕(健理湯) | 건위, 복통 | 161 | 삼원음(蔘圓飮) | 건위, 복통 | 162 | 부양조위탕(扶陽助胃湯) | 건위, 복통 | 163 | 청아환(靑娥丸) | 건위, 복통 | 164 | 작약감초탕(芍藥甘草湯) | 건위, 복통 | 165 | 독활기생탕(獨活寄生湯) | 골통, 신경통 | 166 | 대방풍탕(大防風湯) | 골통, 신경통 | 167 | 난간전(煖肝煎) | 신한, 소염 | 168 | 회향안신탕(茴香安腎湯) | 신한, 소염 | 169 | 삼기탕(蔘氣湯) | 보기, 강장 | 170 | 탁리소독음(托理消毒飮) | 옹저, 소염 | 171 | 가미십전탕(加味十全湯) | 옹저, 신생 | 172 | 자신보원탕(滋腎保元湯) | 옹저, 신생 | 173 | 국로고(國老膏) | 옹저, 소염 | 174 | 조경산(調經散) | 조경, 부인 | 175 | 가미귀비탕(加味歸脾湯) | 조경, 부인 | 176 | 수비전(壽脾煎) | 조경, 부인 | 177 | 복원양영탕(復元養榮湯) | 조경, 부인 | 178 | 조경종옥탕(調經種玉湯) | 조경, 부인 | 179 | 육린주(毓麟珠) | 조경, 부인 | 180 | 부익지황환(附益地黃丸) | 조경, 부인 | 181 | 사물황구환(四物黃狗丸) | 조경, 부인 | 182 | 보생탕(保生湯) | 임신 악조 | 183 | 교애궁귀탕(膠艾芎歸湯) | 유산, 하혈 | 184 | 교애사물탕(膠艾四物湯) | 유산, 하혈 | 185 | 안태음(安胎飮) | 유산, 안태 | 186 | 금궤당귀산(金櫃當歸散) | 유산, 안태 | 187 | 가미팔진탕(加味八珍湯) | 임신, 보양 | 188 | 불수산(佛手散) | 최산, 진통 | 189 | 단녹용탕(單鹿茸湯) | 최산, 진통 | 190 | 이어탕(理魚湯) | 임신부종 | 191 | 삼출음(蔘朮飮) | 임신요폐 | 192 | 보허탕(補虛湯) | 산후보약 | 193 | 당귀양육탕(當歸羊肉湯) | 산후보약 | 194 | 당귀황기탕(當歸黃氣湯) | 산후보약 | 195 | 삼출고(蔘朮膏) | 산후 방광염 | 196 | 백출산(白朮散) | 건위 창만 | 197 | 보원탕(保元湯) | 두진, 마마 | 198 | 구미신공산(九味神功散) | 두진, 마마 | 199 | 안태음(安胎飮) | 유산예방 | 200 | 회생산(回生散) | 토사, 곽란 | 201 | 목유산(木萸散) | 토사, 곽란 | 202 | 생강귤피탕(生薑橘皮湯) | 수족마냉 | 203 | 신향산(神香散) | 진해, 거담 | 204 | 삼요탕(三拗湯) | 진해, 거담 | 205 | 육안전(六安煎) | 진해, 거담 | 206 | 행소탕(杏蘇湯) | 진해, 거담 | 207 | 이붕고(梨硼膏) | 진해, 거담 | 208 | 오과다(五果茶) | 진해, 거담 | 209 | 삼자양친탕(三子養親湯) | 진해, 거담 | 210 | 인삼백합탕(人蔘百合湯) | 진해, 결핵 | 211 | 정천탕(定喘湯) | 진해, 거담 | 212 | 해표이진탕(解表二陳湯) | 진해, 거담 | 213 | 귤피죽여탕(橘皮竹茹湯) | 진해, 해열 | 214 | 실비산(實脾散) | 부종, 건위 | 215 | 분기음(分氣飮) | 부종, 건위 | 216 | 보중치습탕(補中治濕湯) | 부종,간염,신염 | 217 | 인삼궁귀탕(人蔘芎歸湯) | 소종, 혈창 | 218 | 중만분소탕(中滿分消湯) | 창만, 변폐 | 219 | 목향순기탕(木香順氣湯) | 창만, 변폐 | 220 | 청심연자음(淸心蓮子飮) | 소갈,성기능 | 221 | 생진양혈탕(生津養血湯) | 소갈, 당뇨 | 222 | 활혈윤조생진음(活潤生津飮) | 소갈, 당뇨 | 223 | 인진사역탕(茵蔯四逆湯) | 신랭, 자한 | 224 | 과부탕(果附湯) | 신랭, 학질 | 225 | 시진탕(柴陳湯) | 간염, 폐렴 | 226 | 노강음(露薑飮) | 담학 | 227 | 평진탕(平陳湯) | 식학, 건위 | 228 | 청비음(淸脾飮) | 식학,간염,폐렴 | 229 | 궁귀별갑산(芎歸鱉甲散) | 노학 | 230 | 노강양위탕(露薑養胃湯) | 담학, 식학 | 231 | 쌍해음자(雙解飮子) | 장학, 한학 | 232 | 가감청비음(加減淸脾飮) | 학질 | 233 | 시평탕(柴平湯) | 학질 | 234 | 우슬전(牛膝煎) | 학질 | 235 | 추학음(追虐飮) | 학질 | 236 | 황련청심음(黃連淸心飮) | 성기능 | 237 | 칠기탕(七氣湯) | 거담 | 238 | 사칠탕(四七湯) | 거담 | 239 | 분심기음(分心氣飮) | 건위, 변통 | 240 | 정기천향탕(正氣天香湯) | 건위, 복통 | 241 | 팔미순기산(八味順氣散) | 건위, 보기 | 242 | 귤피일물탕(橘皮一物湯) | 기결, 감기 | 243 | 소자강기탕(蘇子降氣湯) | 진해, 거담 | 244 | 삼화산(三和散) | 창만, 동통 | 245 | 교감단(交感丹) | 울체, | 246 | 소합향원(蘇合香元) | 해독, 호흡기병 | 247 | 가미온담탕(加味溫膽湯) | 심장, 안정 | 248 | 사물안신탕(四物安神湯) | 신경 안정 | 249 | 복령보심탕(茯笭補心湯) | 신경 안정 | 250 | 온담탕(溫膽湯) | 신경 안정 | 251 | 형소탕(刑蘇湯) | 인통, 실음 | 252 | 옥병풍산(玉屛風散) | 자한 | 253 | 반하온폐탕(半夏溫肺湯) | 거담 | 254 | 화위이진전(和胃二陳煎) | 거담, 건위 | 255 | 이진탕(二陳湯) | 거담, 건위 | 256 | 궁하탕(芎夏湯) | 거담, 건위 | 257 | 오매환(烏梅丸) | 복통, 구충 | 258 | 온장환(溫臟丸) | 복통, 구충 | 259 | 축천환(縮泉丸) | 유뇨, 빈뇨 | 260 | 계장산(鷄腸散) | 유뇨, 빈뇨 | 261 | 비해분청음(裨解分淸飮) | 성병, 임질 | 262 | 위풍탕(胃風湯) | 설사, 장염 | 263 | 삼백탕(三白湯) | 설사, 조습 | 264 | 사습탕(瀉濕湯) | 설사, 조습 | 265 | 진인양장탕(眞人養臟湯) | 설사, 복통 | 266 | 생숙음자(生熟飮子) | 설사, 복통 | 267 | 수자목향고(水煮木香膏) | 설사, 복통 | 268 | 소풍산(消風散) | 두풍, 현훈 | 269 | 양혈거풍탕(養血祛風湯) | 두풍, 현훈 | 270 | 청훈화담탕(淸暈化痰湯) | 두풍, 현훈 | 271 | 반출천마탕(半朮天麻湯) | 두풍, 현훈 | 272 | 청상견통탕(淸上譴痛湯) | 두통, 편두통 | 273 | 순기화중탕(順氣和中湯) | 두통, 편두통 | 274 | 당귀보혈탕(當歸補血湯) | 두통, 혈허 | 275 | 궁오탕(芎烏湯) | 산후 두통 | 276 | 청상사화탕(淸上瀉火湯) | 두통, 열궐 | 277 | 승마황련탕(升麻黃連湯) | 면열 | 278 | 승마부자탕(升麻附子湯) | 면한, 위한 | 279 | 승마위풍탕(升麻胃風湯) | 면종, 위풍 | 280 | 청상방풍탕(淸上防風湯) | 면종, 소염 | 281 | 만형자산(蔓荊子散) | 면종, 중이염 | 282 | 형개연교탕(荊芥連翹湯) | 소염, 중이염 | 283 | 여택통기탕(麗澤通氣湯) | 소염, 중이염 | 284 | 감길탕(甘桔湯) | 인통, 편도선 | 285 | 청화보음탕(淸火補陰湯) | 인통, 후두염 | 286 | 수념산(手拈散) | 심통, 진통 | 287 | 연부육일탕(連附六一湯) | 심통, 위통 | 288 | 행기향소산(行氣香蘇散) | 감기, 식체 | 289 | 창졸산(倉卒散) | 심통, 강심 | 290 | 길경지각탕(桔梗枳殼湯) | 식체, 협체 | 291 | 시경반하탕(柴梗半夏湯) | 해열, 소염 | 292 | 통유탕(通乳湯) | 최유, 소유 | 293 | 적복령탕(赤茯笭湯) | 거담, 위산 | 294 | 신효과루산(神效瓜蔞散) | 유옹, 유암 | 295 | 가미지패산(加味芷貝散) | 유옹, 유암 | 296 | 십육미유기음(十六味流氣陰) | 유암, 적체 | 297 | 청간해울탕(淸肝解鬱湯) | 유옹, 간염 | 298 | 지패산(芷貝散) | 유옹 | 299 | 후박온중탕(厚朴溫中湯) | 위염, 협체 | 300 | 황련탕(黃連湯) | 위염, 위산 | 301 | 여신탕(如神湯) | 요통, 복통 | 302 | 입안산(立安散) | 요통, 복통 | 303 | 지궁산(枳芎散) | 흉통, 복통 | 304 | 추기산(推氣散) | 흉통, 복통 | 305 | 청기산(淸肌散) | 은진, 해독 | 306 | 목유탕(木萸湯) | 위통, 복통 | 307 | 사증목과환(四蒸木瓜丸) | 한열, 구토 | 308 | 당귀사역탕(當歸四逆湯) | 진통, 소염 | 309 | 길경탕(桔梗湯) | 폐옹, 폐렴 | 310 | 통순산(通順散) | 담종, 거담 | 311 | 하고초산(夏枯草散) | 나력, 마도 | 312 | 전생활혈탕(全生活血湯) | 자궁출혈,보혈 | 313 | 달생산(達生散) | 축태, 순산 | 314 | 죽력탕(竹瀝湯) | 임신번조 | 315 | 자원탕(紫苑湯) | 임신진해 | 316 | 자소음(紫蘇飮) | 현훈, 난산 | 317 | 형개산(荊芥散) | 현훈, 혈훈 | 318 | 소삼소음(小蔘蘇飮) | 산후천식 | 319 | 시호사물탕(柴胡四物湯) | 산욕열, 소염 | 320 | 유풍산(愈風散) | 산후 중풍 | 321 | 두림주(豆淋酒) | 산후 풍증 | 322 | 소요산(逍遙散) | 월경부조, 번열 | 323 | 비아환(肥兒丸) | 소아 허약 | 324 | 소아청심원(小兒淸心元) | 소아경열,번조 | 325 | 생료사물탕(生料四物湯) | 소창, 소종 | 326 | 우황해독단(牛黃解毒丹) | 소아태창, 해독 | 327 | 시귀음(柴歸飮) | 소아두진, 두진 | 328 | 희두토홍환(稀痘兎紅丸) | 소아두진, 두진 | 329 | 소독보영단(消毒保瓔丹) | 두진, 두독 | 330 | 포룡환(抱龍丸) | 소아경풍, 거담 | 331 | 우황포룡환(牛黃抱龍丸) | 소아경풍, 거담 | 332 | 자상환(紫霜丸) | 소아구토, 담벽 | 333 | 오복화독단(五福化毒丹) | 소아두창 | 334 | 천을환(天乙丸) | 소아경열, 해열 | 335 | 소침환(燒鍼丸) | 소아토유, 토식 | 336 | 맥탕산(麥湯散) | 소아수두, 해열 | 337 | 사백산(瀉白散) | 폐렴, 진해 | 338 | 청금강화탕(淸金降火湯) | 폐렴, 진해 | 339 | 천민탕(千緡湯) | 거담, 진해 | 340 | 정천화담탕(定喘化痰湯) | 거담, 진해 | 341 | 소도담강기탕(蘇導痰降氣湯) | 거담, 진해 | 342 | 육울탕(六鬱湯) | 울적, 건위 | 343 | 보화환(保和丸) | 식적, 탄산 | 344 | 소적정원산(消積正元散) | 식적, 적울 | 345 | 대칠기탕(大七氣湯) | 적취, 복통 | 346 | 적소두탕(赤小豆湯) | 부종, 복만 | 347 | 사령오피산(四笭五皮散) | 부종, 복만 | 348 | 대이향산(大異香散) | 복만, 2변불리 | 349 | 칠물후박탕(七物厚朴湯) | 복창, 변불리 | 350 | 소창음자(消脹飮子) | 복만, 단복고창 | 351 | 인진오령산(茵蔯五笭散) | 황달, 간염 | 352 | 가감위령탕(加減胃笭湯) | 황달, 위염 | 353 | 쟁공산(爭功散) | 학질, 해열 | 354 | 십장군환(十將軍丸) | 학질, 구학 | 355 | 인출탕(茵朮湯) | 학질, 식학 | 356 |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 | 소염, 임질 | 357 | 신보원(神保元) | 심통, 복통 | 358 | 추풍거담환(追風祛痰丸) | 거담, 간질 | 359 | 청심곤담환(淸心滾痰丸) | 간질, 경광 | 360 | 용뇌안신환(龍腦安神丸) | 간질, 경광 | 361 | 당귀승기탕(當歸承氣湯) | 해열, 변비 | 362 | 사궁산(莎芎散) | 지혈, 코피 | 363 | 서각지황탕(犀角地黃湯) | 지혈, 코피 | 364 | 칠생탕(七生湯) | 지혈, 코피 | 365 | 가미소요산(加味逍遙散) | 생리, 간염 | 366 | 청장탕(淸腸湯) | 혈뇨, 방광염 | 367 | 평위지유탕(平胃地楡湯) | 혈변, 장염 | 368 | 후박전(厚朴煎) | 혈변, 하혈 | 369 | 녹포산(綠袍散) | 지혈, 잇몸 | 370 | 당귀육황탕(當歸六黃湯) | 해열, 도한 | 371 | 소조중탕(小調中湯) | 거담화,위염 | 372 | 과루지실탕(瓜蔞枳實湯) | 거담화,흉만 | 373 | 가미사칠탕(加味四七湯) | 거담화,매핵기 | 374 | 정전이진탕(正傳二陳湯) | 거담,건위,식적 | 375 | 공연단(控涎丹) | 거담, 신경담 | 376 | 죽력달담환(竹瀝達痰丸) | 거담, 장염 | 377 | 개기소담탕(開氣消痰湯) | 거담, 담핵 | 378 | 곤담환(滾痰丸) | 거담, 해열 | 379 | 연진탕(蓮陳湯) | 소아회충 복통 | 380 | 만전목통탕(萬全木通湯) | 이뇨, 해열 | 381 | 도적산(導赤散) | 이뇨, 해열 | 382 | 팔정산(八正散) | 이뇨, 방광염 | 383 | 자신환(滋腎丸) | 이뇨, 신염 | 384 | 대분청음(大分淸飮) | 이뇨, 신염 | 385 | 지축이진탕(枳縮二陳湯) | 이뇨, 거담 | 386 | 오림산(五淋散) | 이뇨, 신염 | 387 | 증미도적산(增味導赤散) | 이뇨, 혈림 | 388 | 위령탕(胃笭湯) | 복통하리,소염 | 389 | 유령탕(儒笭湯) | 설사, 복통 | 390 | 승양제습탕(升陽除濕湯) | 설사, 기허 | 391 | 창출방풍탕(蒼朮防風湯) | 설사, 기허 | 392 | 만병오령산(萬病五笭散) | 설사, 장염 | 393 | 도적지유탕(導赤地楡湯) | 설사, 장염 | 394 | 수련환(茱連丸) | 설사, 장염 | 395 | 황금작약탕(黃芩芍藥湯) | 설사, 장염 | 396 | 도체탕(導滯湯) | 설사, 장염 | 397 | 창름탕(倉름湯) | 설사, 장염 | 398 | 조중이기탕(調中理氣湯) | 설사, 위염 | 399 | 감응원(感應元) | 설사, 위염 | 400 | 소감원(蘇感元) | 설사, 복통 | 401 | 만억환(萬億丸) | 설사, 식체 | 402 | 강다탕(薑茶湯) | 이질, 복통 | 403 | 향련환(香連丸) | 이질, 복통 | 404 | 육신환(六神丸) | 이질, 복통 | 405 | 통유탕(通幽湯) | 최유, 변비 | 406 | 사마탕(四磨湯) | 변비, 기체 | 407 | 궁신도담탕(芎辛導痰湯) | 두통, 현훈 | 408 | 사청환(瀉靑丸) | 간염, 간열 | 409 | 석결명산(石決明散) | 간염, 안질 | 410 | 세간명목탕(洗肝明目湯) | 간염, 안질 | 411 | 사물용담탕(四物龍膽湯) | 안질, 적목 | 412 | 백강잠탕(白畺蠶湯) | 폐한, 안루 | 413 | 하고초산(夏枯草散) | 간허, 안루 | 414 | 가미자주환(加味磁朱丸) | 안질, 안혼 | 415 | 세안탕(洗眼湯) | 안질, 세안 | 416 | 황금탕(黃芩湯) | 폐화, 비염 | 417 | 청혈사물탕(淸血四物湯) | 주사비, 청혈 | 418 | 회춘양격산(回春凉膈散) | 폐염, 구내염 | 419 | 황련탕(黃連湯) | 폐염, 심열 | 420 | 청대산(靑黛散) | 구강염, 편도선 | 421 | 용석산(龍石散) | 구강염, 편도선 | 422 | 청위산(靑胃散) | 치통, 위염 | 423 | 사위탕(瀉胃湯) | 치통, 소염 | 424 | 옥지산(玉池散) | 치통, 풍치 | 425 | 우황양격원(牛黃凉膈元) | 구강염,인후 | 426 | 취후산(吹喉散) | 인후염, 편도염 | 427 | 필용방감길탕(必用方湯) | 인후염, 편도염 | 428 | 박하전원(薄荷煎元) | 인후염, 편도염 | 429 | 용뇌고(龍腦膏) | 인후염, 편도염 | 430 | 회수산(回首散) | 경항, 근육통 | 431 | 삼합탕(三合湯)
| 근육, 신경통 | 432 | 서각소독음(犀角消毒飮) | 단독, 반진 | 433 | 개결서경탕(開結舒經湯) | 수족마비 | 434 | 반하영출탕(半夏笭朮湯) | 근육통, 경담 | 435 | 서경탕(舒經湯) | 근육통, 경담 | 436 | 청열사습탕(淸熱瀉濕湯) | 근육통, 근염 | 437 | 빈소산(檳蘇散) | 근염, 장염 | 438 | 반총산(蟠蔥散) | 복통, 적리 | 439 |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 | 임질, 소염 | 440 | 신성대침산(神聖代鍼散) | 혈적산통, 자통 | 441 | 귤핵환(橘核丸) | 소종, 소염 | 442 | 삼산탕(三疝湯) | 이뇨, 방광통 | 443 | 진교창출탕(秦 蒼朮湯) | 소대장염, | 444 | 당귀화혈탕(當歸和血湯) | 장염, 하혈 | 445 | 제습활혈탕(除濕活血湯) | 장염, 하혈 | 446 | 삼인고(三仁膏) | 소종, 소옹 | 447 | 신성병(神聖餠) | 소종, 소옹 | 448 | 선유량탕(仙遺粮湯) | 매독, 소창 | 449 | 단분환(丹粉丸) | 매독, 발진 | 450 | 치자청간탕(梔子淸肝湯) | 유옹, 유종 | 451 | 주귀음(酒歸飮) | 소종, 소창 | 452 | 활혈구풍탕(活血驅風湯) | 소창, 소양 | 453 | 비급환(備急丸) | 구급, 졸폭 | 454 | 4제향부환(四製香附丸) | 월경부조, 부인 | 455 | 7제향부환(七製香附丸) | 월경부조, 부인 | 456 | 통경탕(通經湯) | 월경폐지, 부인 | 457 | 귀출파징탕(歸朮破澄湯) | 월경페지, 자근 | 458 | 우슬탕(牛膝湯) | 산후복만 | 459 | 영양각탕(羚羊角湯) | 자간, 임신경련 | 460 | 택사탕(澤瀉湯) | 자림, 임부이뇨 | 461 | 당귀작약탕(當歸芍藥湯) | 자리, 임부설사 | 462 | 실소산(失笑散) | 산후진통 | 463 | 기침산(起枕散) | 산후복통, 유산후 | 464 | 우황고(牛黃膏) | 산후진통, 자궁염 | 465 | 이비탕(理脾湯) | 산후식상, 건위 | 466 | 반하사심탕(半夏瀉心湯) | 구토, 번위 | 467 | 치자백피탕(梔子栢皮湯) | 황달, 간염 | 468 | 인진호탕(茵蔯蒿湯) | 황달, 복만 | 469 | 보폐탕(保肺湯) | 폐위, 폐결핵 | 470 | 가미길경탕(加味桔梗湯) | 폐옹, 폐염 | 471 | 탕귀탕(蕩鬼湯) | 귀태, 유산 | 472 | 탕사탕(蕩邪湯) | 귀태, 유산 | 473 | 삼귀용탕(蔘歸茸湯)
| 기허, 혈허 | 474 | 추충환(追蟲丸) | 구충 | 475 | 선울통경탕(宣鬱通經湯) | 생리통, 생리불순 |
| .daum.net/wjddhksdnekcaf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