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go,go,,,/집 짓고 싶go..

[스크랩] 새집증후군과 벽지 그리고 친환경 벽지..

감사한 하루 2012. 7. 24. 12:29

새집증후군과 벽지 그리고 친환경이라는 단어는 늘 따라다니는 관계인 것 같습니다.

막연한 정보가 아닌 실제로 벽지와 새집증후군에 대한 오류와 막연한 거부감 등 올바르지 못한 정보로 인한 피해를 막고자 내용을 정리해보았습니다.

 

먼저 새집증후군은 빌딩증후군(SBS; Sick Building Syndrome)이라고도 하며, 빌딩관련 질병이라고 한다. 신축아파트 입주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보면 새집증후군의 가장 흔한 증세로 눈이 따갑거나 건조하다로 나타났고 이어서 잦은 기침, 발진이나 가려움, 코막힘, 콧물, 두통이나 구역질, 심하면 호흡곤란을 느끼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새집에 입주한 이후 이유없이 온몸에 붉은 반점이 나고 비염ㆍ아토피성피부염ㆍ두드러기ㆍ천식ㆍ심한 두통ㆍ기관지염 등 각종 질병에 시달린다면 `새집증후군`이나 화학물질과민증(MSCㆍMultiple Chemical Sensitivity)의 현상일 수 있다.
이사하기 전 각종 알레르기성 질환을 앓고 있었던 환자라면 대부분 더 악화된다. 이사 후 건강에 이상이 생기거나 악화되는 것은 마감재와 건축자재 등에서 배출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대기 중 상온(섭씨 20도)에서 가스형태로 존재하는 유기화합물의 총칭이다. 밝혀진 것만해도 수백 종에 달하고 있다는 것이 산업의학 전문의들의 의견이다. 여기에는 대부분 발암 물질이 포함되어 있는데 벤젠을 비롯해 톨루엔ㆍ클로로포름ㆍ아세톤ㆍ스틸렌ㆍ포름알데히드 등을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습니다.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건물을 신축한 후 6개월 때 가장 많이 배출된다. 외국에서 발표된 보고서에 따르면 마루바닥이나 타일을 붙일 때 쓰이는 접착제 등에서는 시공 후 최장 10년까지 유해물질이 방출돼 건강의 위해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인테리어 마감재 자체가 문제인 것 처럼 다루어져서 소비자 입장에서는 벽지 자체에서 유독한 화학물질이 방출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디아이디를 비롯한 국내 대부분의 벽지 제조사에서는 이러한 인체에 유해한 독성물질에 대해 환경부 및 공기청정협회등 환경관련 기관의 엄격한 통제와 생산기준에 맞추어 문제가 없도록 생산및 유통을 하고 있습니다

환경부 및 공기청정협회등 환경관련 기관의 엄격한
통제와 생산기준에 맞추어 문제가 없도록 생산및 유통을 하고 있습니다.

 

실질적으로 벽지 자체의 문제라기보다는 인테리어 시공시 사용된 접착제 및 도배용 풀 (물론 접착제나 도배풀 및 페인트 중 환경기준에 맞추어 생산된 우수한 품질의 제품도 있다)을 잘못 사용하는 경우 접착제의 건조부터 지속적으로 유해물질이 방출될 우려가 있는것이 문제입니다

 

 

따라서 소비자가 이러한 새집증후군   에 대한 막연한 공포심보다는 본질을 정확히 파악하여 문제를 슬기롭게 대처하는 지혜를 발휘해야 합니다

 

새집 증후군을 일으키는 원인은

 

1.콘크리트의 건조,

 

2. 벽지와 바닥재에 사용된

화학용 본드,

 

3.붙박이장과 인테리어 공사에서

사용되는 유해 도료

  

 

이러한 세가지가 가장 큰 문제로

 

가급적 인테리어공사시 친환경 자재 및 부자재를 사용해야 하며

 

새집일 경우 적절한 환기 조치 등으로 혹시나 발생될 소지가 있는 유해물질을 배출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흔히 알려진  베이크 아웃(bake-out)을 실시하는 방법입니다.

 

말 그대로 집 안을 통째로 구워 공기를 빼내는 방법인데, 보일러를 30도 이상으로 올려 3일 정도 난방을 하는 것으로, 공기가 더워지면 순환이 촉진되어 유해 가스가 빨리 방출되는 원리는 이용한 것입니다. 다만 주의할 점은 보일러가 과열되지 않도록 주의하기 위해 1시간 정도 보일러를 동작 후에는 같은 시간만큼 쉬는 시간을 두었다가 다시 보일러를 동작하는 일을 반복해야 하며,

 

 환기에 유의해야 하며, 어린이와 노약자, 임산부는 출입을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반드시 신축한 건물에 해당하는 것만은 아니고, 내부 인테리어 공사를 했을 때도 실시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너무 과도한 보일러 작동은 난방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될 우려가 있으니 상황에 맞추어 적절히 실시하는 편이 좋으며, 보다 경제적인 방법으로는 하절기 외출시 문을 닫아서 실내온도를 높여놓은 상태로 유지시킨 뒤 외출에서 돌아와 즉시 환기를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소비자가 능동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능력을 지님으로써 환경문제에 대해 슬기롭게 대처해 나가야 하겠습니다

 

혀니 디아이디 벽지

http://cafe.naver.com/phdid

출처 : ♡로맨틱인테리어♡(벽지,리폼,집꾸미기,예쁜집,DIY,리모델링)
글쓴이 : 난나여 원글보기
메모 :